본문 바로가기

논문꾼

과학적 이슈의 사회화에 대한 딴지 - 소칼의 지적 사기 사건, - 마가릿 미드의 사모아 연구, - 이른바 '자아의 고갈'을 보여준 마시멜로(?) 논문, - 로제한의 가짜 정신병원 실험, 이런 류의 논쟁들로부터 "거 봐, 인간성이 맞네", "거 봐 이런 거잖아", "거 봐, 과학이 알려주는 것은 아무 것도 없잖아" 라는 교훈을 꺼내는 것이야 말로 가장 그 논쟁을 하찮게 만드는 일이다. 찬반 논쟁이 격렬할 수록, 이슈의 중심은 점점 흐려진다. 예를 들어, '종의 기원'을 보면서, "그럼 신이 인간을 만들었다는 것을 부정한다는 거야?"라고 묻는 것과 비슷하다. '의지력의 고갈'에 대한 사람들의 궁금증은 '그럼 애한테 빡세게 공부시키라는 거야, 창의적으로 살도록 놔두라는 거야'라는 것.과학의 핀셋은 너무 치밀하고, 그걸 이해하기에 우리의 일상은.. 더보기
"나 한줄도 못 쓰겠어"를 극복하는 법 논문이 벽돌나르기라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벽돌나르기는 물론 고된 노동이다. 거기에 비하면 논문 쓰는 일은 에어컨이 나오는 연구실에 앉아서 손가락 근육만 미세하게 움직이면 되니 조금 더 편하다고 느껴질지 모른다. 그러나 논문 쓰기에는 벽돌나르기를 할 때는 생기지 않는 특수한 어려움이 있다. 책상에 앉아서 논문쓸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순간이 많다는 것이다. 누구나 벽돌을 나르자고 마음 먹는 순간, 벽돌나르기를 시작할 수 있다. 작업반장이 "작업시작"이라고 신호를 주면 팔다리를 움직여 땅에 있는 벽돌을 한번에 옮길 수 있는 만큼 쌓아서 옮기면 된다. 그런데 작업 반장이 만약 "논문시작!"이라고 말한다면 어떨까? 누구나 앉아서 논문쓰기를 시작해낼 수 있을까?.. 더보기
[펌] 청소년 논문,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는 책은 대학교수에게 갑자기 이메일을 보낸 중핵생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중학생은 아파트 옥상에서 무당벌레가 집단적으로 죽어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원인에 대해 고민하며 급기야 도시계획 전문가인 정석교수에게까지 이메일을 보내게 된 것이다. 연구결과, 주범은 아파트 옥상의 조명으로 밝혀졌다. 학생의 열정과 정석 교수의 도움으로 라는 보고서가 나올 수 있었다. 덕분에 이 중학생은, 비록 익명이지만, 한 교수의 도시설계 에세이의 서문을 장식할 수 있었던 것이다. 2014 년초, 교과부는 외부스펙 기재 금지를 발표했지만 여전히 연구논문의 중요성은 줄어들지 않았다. 대교협에서 발표한 외부스펙은 외국어 점수와 일부 학교 교과목이 포함된 대회 스펙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인영어점수, 다른 외국어 시험점수, 수학경시.. 더보기
"지도교수를 어떻게 만날 것인가?" 출처: https://knowledgepen.com:48492/kor/bbs/board.php?bo_table=resources&wr_id=576&page=0&sca=&sfl=&stx=&sst=&sod=&spt=0&page=0 학부 때 학생들은 거의 연구에 대해서 지도를 받아본 적이 없다가, 대학원에 와서 처음으로 '지도교수'라는 무시무시한 산을 만난다.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역시 지도교수와의 관계이다. 한국에서 지도교수와 대학원생의 관계는 각별하고, 또 특별하다. 그러나 많은 대학원생들이 지도교수 대하기를 어려워 한다. 지도교수는 당신이 부딪친 처음이자 마지막 장벽이다. 지도교수는 당신이 전공한 분야의 대가이면서, 적어도 그 분야에서 당신이 10년은 더 공부해야 따라갈 수 있.. 더보기
구조방정식 모형 구조방정식에 관한 좋은 글이 있어 인용원문주소: http://sansanee.tistory.com/30 1 지금까지 우리는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과 종속변수 (Dependent variable) 에 익숙합니다. 하지만 구조방정식 모델에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라는 개념대신 관측변수(observed variable) 와 잠재변수 (latent variable) 그리고 외생변수 (exogenous variable) 와 내생변수 (endogenous variable)의 개념으로 변수들이 나타내어집니다. 관 측변수들이 (설문지에 해당하는 항목들) 모여서 하나의 잠재변수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잠재변수들끼리 외생변수와 내생변수의 개념을 가지고 모델을 형성하게 됩니다. 외생변수는 모델 내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