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리학자

기업의 자본조달방식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산업클러스터의 진화과정 클러스터 이론의 변화 1. 이론적 배경: 마샬의 산업지구 이론, 포터의 다이아몬드 이론 2. 반론: 클러스터 개념의 모호함. 정책도구로 활용. 반증가능성(?) 3. 네트워크 경제이론 4. 지식경제: 지식의 부가가치 창출과정 5. 진화적 경제지리학: Menzel, 클러스터의 변화과정은 적응, 변이, 천이 등의 개념으로 설명 6. 경로의존성, 기존 지역과의 연계적 산업을 가진 새로운 산업지구 출현 7. 암묵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코드화된 지식과 코드화되지 않은 지식) 8. 지역승수이론/혁신환경학파/스콧의 신산업지구이론-거래비용/진화적 경제지리학 Distance, Density, Division 거리를 줄이고, 밀도를 높이고, 장벽을 낮춘다(WDR). 왜 지리학자는 참여를 안했나? 역사적 경향성에 대한 연구 .. 더보기
비판지리학 연구경향 1. 닐 브레너: 공간적 조절이론 계통 2. 밥 제솝: 전략관계적 국가론 3. 박배균: 멀티스케일 정치에 기반한 한국사회분석 VOC: 다양한 자본주의론(북유럽/북미) 역사유물론 국제관계학: 구조주의형 누더기 자본주의론: 조절체계, 공간전략 등 분석 하비: 자본의 한계, 신자유주의론 - 신자유주의 동원: 장소마케팅과 신자유주의 전략, I love New York - 자본의 유통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점점 공간은 자본주의 유통과정 깊숙히 개입하게 된다는 점 - 대안, 연대? 자본주의 이후의 신자유주의 - 신자유주의란: 공간정치적 프로젝트 - 신자유주의 국가론: 밀리반드 vs 풀란차스 논쟁 - 퓰란찬스: 관계론적, 구조론적 입장 공부를 하다보면 어느 순간 냉소가 방문을 두드린다. 더보기
동북아시아 지역연구 지역연구의 흐름 전통적으로 지리학은 현상에 대한 기술을 다루는 학문이었다. 고대 시대의 지리학은 프톨레마이오스의 Geography에서도 나타나듯이 장소에 대한 특성을 기술하고,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었다. 또 한편으로, 지도를 만들고 제작하는 일 역시 지리학이 담당하는 주된 임무였다. 신대륙 발견 이후 지리학자들은 아메리카 대륙을 다니면서 현지조사에 나섰고, 제국주의 시대를 맞으면서 지리학자는 더 많은 장소에 대해서 기술해야 하는 임무를 맡았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지리학은 곧 지역연구였으며, 아직도 지역연구는 지리학에서 가장 중심적인 분야로 남아있다. 19세기 후반에 유럽에서는 지리학의 흐름을 결정하는 여러 사건들이 발생한다. 라쩰과 맥킨더는 사회진화론에 영향을 받아서 인간의 .. 더보기